본문 바로가기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2019)

gracenmose 2021. 2. 24.

고미숙의 글쓰기 특강 /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양생과 구도, 그리고 밥벌이로서의 글쓰기 

블로그에 글쓰기, 가족 글쓰기를 하면서 부쩍 글쓰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티친님 중 한 분이 이 책을 읽고 후기를 쓴 것이 마음에 들어서 이 책을 또 골라잡았다. 내가 선택은 안하고 한 번 검증을 받은 책들을 고르니 이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다만, 같은 책을 읽고 쓴 소감인데 수준이 비교될 수 있다는 점은 감수를 좀 해야 한다.

고미숙이라는 이름은 왠지 어딘가에서 들어보기는 했는데, 딱히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 분은 고전평론가인데, 굉장히 많은 책들을 쓴 작가이다. 책을 읽어보니 정말 타고난 이야기꾼이라 해야 할 듯 하다. 이 분을 앞에 모셔 놓고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대해서 말씀 좀 해 주실래요? 하면 꼬박 하루 밤을 새면서도 이야기가 끊이지 않을 것 같다. 그리고 책에 쓴 문장체에서 느껴지는 느낌이 굉장히 호탕하고 좋다. 

 

읽고 쓴다는 것, 그 거룩함과 통쾌함에 대하여

 

책 서두에서 '쓰는 것과 읽는 것은 분리되지 않는다'고 했다. "읽지도 않고 쓰기만 하는 사람은 없다. 읽었으니 쓰고, 쓰려면 읽어야 한다.", 나는 책을 안 읽는데도 적당히 써지는데요? 하는 분들도 어디선가 무엇인가를 꾸준히 읽었을 것이다. 그것이 책이 아니었을 뿐이지, 읽어본 경험이 없는 사람은 쓰기도 힘들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포스팅을 보는 사람도 하나를 더 읽는 것.

책은 크게 2부로 나누어져 있는데, 1부는 이론편으로 글쓰기의 존재론을 논하고, 2부는 실제로 글쓰기 특강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을 옮겨 적은 실전편이다.

몇몇 곳에 옮겨 적고 싶은 문장들이 있어서 가져와 본다.

p. 62 
읽으면 써야 한다. 읽기와 쓰기는 동시적이다. 하지만 지금은 이 동시성이 사라졌다. 대학교에 조차 쓰기라는 행위가 없다. 그저 읽기만 한다. 그저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뿐이다. 생산과 창조에 대해서는 아예 설정조차 하지 않는다. 그러니 아무리 읽어도 쓸 수가 없다. 생각해 보면 참으로 아이러니요 불가사의다. 그렇게 오랫동안 책을 읽었는데 왜 쓸 수가 없을까?

p. 64
읽기가 생명의 활동이 되려면 써야 한다. 아, 여기 또 지독한 오해가 있다. 쓰기를 읽기 다음에 두는 것이다. 읽은 다음, 아주 많이 읽은 다음에야 쓰기가 가능하다는 오해 말이다. 천만의 말씀이다. 읽기와 쓰기는 동시적이다. 읽은 다음에 쓰는 것이 아니라 쓰기 위해 읽는 것이다. 아니, 그래야 한다. 쓰기가 전개되지 않고 읽기만 한다면, 그것은 읽기조차 소외시키는 행위다. 그런 읽기는 반쪽이다. 책을 덮는 순간 물거품처럼 사라져 버린다.

p. 112
읽기는 약간의 산만함을 허용하지만 쓰기는 그런 방심을 용납하지 않는다. 잠시 정신줄 놓는 순간, 바로 엔트로피 법칙에 말려든다. 낱말들이 사방으로 마구 흩어져 문장 하나 단락 하나 구성하기도 벅차다.  ...
이런 이치를 알게 되면 읽기가 달라진다. 이전에는 그거 구경꾼의 자세로 대충 음미했다면 이젠 단어 하나, 문장 하나에 담긴 강밀도를 읽어 낼 수 있다. 이 문장 하나를 쓰기 위해 이 사람의 발이 얼마나 많은 거리를 오갔을지, 혹은 얼마나 많은 문헌을 뒤졌을지, 얼마나 고독한 밤을 보냈을지 등등..

p. 126
누구든 자신의 삶을 기록하고 싶어 한다. 나아가 지혜를 원하지 않는 이는 없다. 세상의 이치를 터득하고 싶어 하지 않는 이는 더더욱 없다. 그럼 그것을 가장 잘 훈련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일까? 글쓰기다. 글쓰기는 노동이면서 활동이고 놀이이면서 사색이다. ... 원초적 본능이면서 동시에 고도의 지성을 요구한다. 이보다 더 좋은 활동이 또 있을까?

글쓰기에 대해서 누가 이렇게 여러 각도로 중요하다고 말을 할 수 있을까. 이미 블로그를 하는 사람들은 기본 단계는 통과한 것이다. 글이 길고 짧고를 떠나, 깊고 얕고를 떠나서 일단 쓰는 행위를 한다는 것은 그 만큼 남들보다 반보는 앞서 있는게 아닐까? 그리고 실제로 블로그 포스팅을 할 때를 생각해 보면, 내가 이 말을 하기 위해서 다니며 보고 들은 것들이 전부 다 영향을 주는 것 같다. 그리고 읽는 것, 그것에 대해서도 조금 더 집중해야겠다는 마음이 들게 해 준다.

실전편으로 넘어가면, 고미숙 작가가 직접 <감이당>이라는 곳에서 글쓰기 특강을 진행하면서 강의를 했던 내용들과 그 과정을 수강한 사람의 작품 예시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칼럼, 리뷰, 에세이, 여행기에 대해 강의한 내용이 책에 기록되어 있다.

p. 193
글쓰기는 절대 혼자 하면 안 됩니다. 반드시 내 글을 읽고 솔직하게 논평을 해 주는 친구가 있어야 해요. 글쓰기 자체가 누군가에게 말 걸기 아닙니까? 독자를 전제하지 않는 글쓰기는 형용모순이에요. 그런 점에서 글쓰기는 그 자체로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죠.
실제로 글을 쓴다는 건 인생과 세계를 마주하는 거예요. 좀 거창해 보이지만 참 평범한 말이에요. 산다는 건 결국 누군가를 만나고 이 세상에 대해 알아 가는 과정이잖아요? 글쓰기는 그걸 언어와 문자로 하는 것 뿐입니다. 해서, 글쓰기에서 제일 중요한 건 사람에 대한 관심이죠.

p. 271
여행기란 '길과 글'의 마주침입니다. 길은 마주침과 사건의 현장이지요. 그것은 말을 낳고, 이야기를 낳습니다. 그것이 먼지처럼 흩어지고 만다면 그 여행은 방황 아니면 소비, 혹은 유량에 불과하겠지요. 하지만 그 말과 이야기가 글쓰기를 만나면 그 여행은 삶을 바꾸는 길이 됩니다. 길 위에서 길 찾기! - 그것이 곧 유목입니다. 유랑에서 유목으로!

이런 부분을 보면 그래도 우리 가족이 열심히 잘 하고 있는 것 같다. 솔직하게 논평을 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함께 글을 쓴 후에 읽어주고 글에 대한 의견을 꼭 코멘트로 남겨주고 있다. 물론 영혼 없는 코멘트를 달기도 하지만 말이다. 솔직하게 논평을 해 주면 싸움만 일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지켜줄 것은 지켜주고 있다. 

그리고 여행기. 처음부터 블로그를 염두에 두고 갔던 여행들은 아니었어도, 길에서 만나는 사건을 글로 옮기면 그 여행은 나의 삶에 대한 기록이기도 하고, 나중에 그 여행을 가려는 사람에게는 좋은 이정표가 되는 것이다. 더구나 요즘은 글로만이 아닌 사진과 함께 글로 만들어 나갈 수 있어서 더욱 더 꽉 찬 이야기가 만들어 질 수 있다. 글쓰기라는 특강의 주제를 생각하면 사진이 없이 글로만으로도 이해할 수 있는 여행기를 써 보는 것도 좋기는 하겠지만, 그런 여행기는 전문 여행 작가에게 공을 넘기련다.

* 사족 : 이 책을 빌린 도서관은 제가 소개하지 않은 다른 곳이지요? 다음 도서관 예고입니다.

 

[글쓰기 관련된 다른 포스팅]

날마다 글쓰기 - 루츠 폰 베르더, 바바라 슐테-슈타이니케 지음 / 김동희 옮김 , 들녘 (2016)

[가족 글쓰기 Story] - 가족 글쓰기

[가족 글쓰기 Story] - (가족 글쓰기) 1월 결산 - 글쓰기 좋은 질문

[가족 글쓰기 Story] - 가족이 함께 하는 매일 글쓰기

[티친님 책 후기]

고미숙의 글쓰기 특강

말하기 듣기 쓰기가 있지만 학교에서 영어를 배워도 쓰기는 배우지 않았던 거 같아요 우리나라말도 쓰기는 초등학생때 일기와 독후감 그다음 취업할 때 자기소개서 정도? 블로그에 글을 쓰면서

koo123.tistory.com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